전체 글2 장자의 《장자》가 말하는 도가의 경지 도가는 중국 사상의 여명기인 춘추전국시대 이래 유가 사상과 함께 중국 철학의 주류로 자리 잡았던 학파이다. 대표적인 사상가는 노자와 장자이다. 도가는 참된 길, 즉 도는 인위를 초월한 곳에 있으며 그것은 직관에 의해 체득되는 것으로 사람은 그 참된 길을 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가르친다. 인위를 배제하고 무위자연이 될 것을 권했는데, 배제해야 할 인위 중 주된 것은 유가의 도(道)인 인(仁)과 예(禮)라고 말한다. 시조 노자의 가치관에는 유물적(唯物的) 요소도 보였지만, 그 사상은 열자에서 장자를 거치며 유심적(唯心的)인 철학으로 변화했다.도가의 대표적 사상가인 장자의 저서《장자》 는 우언(寓言)의 형식으로 서술된다. 그래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이야기들은 대개 역사적인 사실과는 거리가 멀며 읽을 때 새.. 2025. 4. 22. 트라우마와 자기 연민 극복 방법 우리는 정신 진찰이라고 하면 프로이트의 상담 장면을 쉽게 떠올리곤 한다. 파란 의자에 누운 환자와 환자의 이야기를 듣는 프로이트의 모습을 말이다. 프로이트의 무의식을 알아내야 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정신분석학 이론은 오늘날 심리학의 토대가 되었다. 덕분에 심리상담을 받으며 나의 행동 동기가 무엇인지, 그 근원이 되는 과거가 무엇인지 알아내는 과정은 우리에게 무척이나 익숙하다. 그런데 우리는 한가지 간과하고 있는 점이 있다. 바로 과거를 뒤져서 잘못을 찾아내는 방법은 우리가 과거를 곱씹으며 부정적인 과거에만 매몰되도록 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심리학 용어로는 사후 가정사고counterfactual thinking이라고 한다. '그때 그런 일이 없었더라면 지금 같지 않았을 텐데...'같은 생각 말이다. .. 2025. 4. 22. 이전 1 다음